AI
커뮤니티
대치동 수업을 그대로 e-learning으로 학습
3차메뉴

교육 뉴스

이기는 디베이트, 베스트 디베이터가 되려면?

이름 :
AI 펜덕스
날짜 :
2024-12-04
조회 :
1868

 

디베이트는 주어진 주제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는 두 그룹이 자신의 주장과 그 근거를 제시해 청중을 설득하는 의사소통 행위이다.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 보다 정해진 룰에 따라 누가 더 설득력 있게 자신의 주장을 펼치는지가 승패를 결정하는 큰 요소이다. 때문에 자신의 주장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상대방 주장의 허점 잘 반박하면 청중을 설득하여 승리할 수 있다.


이기는 디베이트를 위해 서는 철저한 사전준비가 필수이다. 잘 준비된 디베이트 에세이는 주제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통한 의견 확립과, 그 의견을 뒷받침할 객관적인 자료조사, 그리고 예상되는 상대의 주장과 그에 대한 반박의견을 준비해야 한다. 특히 인터넷과 같은 자료를 토대로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여 준비한 다면 자신의 주장에 설득력을 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럼 이렇게 자료 준비만 철저하게 끝나면 디베이트를 이길 수 있을까? 디베이트를 할 때 승패의 또 다른 중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디베이트 매너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1. 품격 있는 표현방식의 중요성

상대에게 예의를 갖춘 언어를 사용하여 자기 주장을 펼치고 반박을 하면 청중으로 하여금 더 설득력 있게 보인다. 반면, 흥분을 하여 타인을 비방하는 발언을 하게 되면 이는 토론참여자의 논리가 부족해 보이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같은 관점으로, 토론을 할 때는 언어적 표현만큼이나 비언어적 표현 역시 중요하다. 토론자는 자신의 목소리 톤, 제스추어, 시선, 표정 이 모두 합쳐져 자신의 주장을 표현하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자신의 주장을 강하게 하기 위하여 무조건 큰소리를 내거나, 타인을 깔보는 자세는 지양해야 한다.

, 타인을 존중하지 않는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은 토론의 격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그 자신의 설득력마저 잃게 된다. 토론은 생각을 경쟁하는 것이지 목소리 크기나 그 외의 다른 것을 경쟁하는 것이 아니다.

 

2. 경청을 해야 하는 이유

상대의 의견에 대해서도 충분히 듣고, 확실히 이해해야 상대의 의견을 제대로 반박할 수 있다. 상대의 발언을 끝까지 듣는 것은 토론과 디베이트 뿐 아니라 마주하는 상대에 대한 존중을 나타내는 아주 기본적인 예의이다. 하고싶은 말이 떠올랐을 때 바로 이야기하는 대신, 잠시 기억해 적어두었다가 발언권을 얻어 논리 정연하게 정리된 생각으로 반박하는 것은 디베이터에게 꼭 필요한 기술이다.

디베이트는 단순한 말싸움이 아닌 수준 높은 토론의 한 형식이다
.

 

3. 협력을 통한 시너지 극대화

디베이트는 일반적으로 팀을 이루어서 진행한다. 그렇다면 팀원들과 의견을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자기 자신 또한 팀에게 도움이 되기 위하여 한 사람 분의 역할을 하기위해 노력하자.

그렇게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다 보면 각자가 갖고 있는 단편적 생각들이 확장되어 서로의 의견을 뒷받침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도 하며 혼자서는 할 수 없는 시너지를 갖출 수 있을 것이며, 분명한 것은 열심히 참여할수록 더 많은 것을 얻어 갈 수 있을 것이다.

 

이 외에도 디베이트를 잘 하는 방법은 많이 있겠지만, 오늘 우리는 단순히 토론의 기술이 아닌 디베이터가 갖추어야 할 가장 핵심 역량인 디베이트 매너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알아보았다. 첨부된 체크리스트를 참고하여 노력한다면 어느새 모두 BEST DEBATER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게시물 검색
162건의 자료가 있습니다. (1/17 페이지)
교육 뉴스 목록 :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번호 이름 날짜 조회
168 2024년, 한 해를 돌아보는 자기학습 평가 AI 펜덕스 2024.12.19 1647
현재글 이기는 디베이트, 베스트 디베이터가 되려면? AI 펜덕스 2024.12.04 1869
166 상위권의 논술로 대학가는 세 가지 학습법 AI 펜덕스 2024.11.06 2426
165 청심국제중 기출문제로 알아보는 국제중 진학과 생활 A to Z AI 펜덕스 2024.10.04 1924
164 초1부터 영어∙수능 이원화와 논서술 평가 현실로? AI 펜덕스 2024.09.26 1952
163 초등부터 준비하는 서울대 면접 합격 노하우 AI 펜덕스 2024.09.19 1851
162 9월 모평으로 예측하는 수능 영어 학습 포인트! AI 펜덕스 2020.09.04 2187
161 영어공부 잘하는 비결! – Listening & Speaking편 AI 펜덕스 2024.08.28 2826
160 영어공부 잘하는 비결! - Writing 편 AI 펜덕스 2024.08.22 2099
159 영어공부 잘하는 비결! - Reading 편 AI 펜덕스 2024.08.13 2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