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에세이는 어느정도 분량으로 적어야 하는 것일 까요? 
A. 처음 에세이를 하는 학생 중에는 ‘몇 단어’로 작성해야 하는지 묻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단어로 350~450자 내외로 작성하는 것이 정석이지만, 단어의 수 보다는 A4용지 앞뒤로 한 장 정도 분량으로 생각 하시면 되며, 한 장을 빈틈없이 꽉 채울 필요는 없습니다.
 
Q. 에세이 쓰는데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다 보니 다른 공부를 놓칠 때가 있습니다. 어떡해야 할까요?
A. 에세이를 쓰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는 가장 대표적인 세가지 이유는 책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경우와 에세이 쓰는 법이 익숙하지 않아서, 그리고 어휘구사력과 문장구사력 같은 표현력이 부족한 경우일 것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Essay Writing이란 시간과 인내를 갖고 연습해야 하는 분야이며 에세이 쓰는 것에 익숙해지고 시간 단축을 위해서는 적어도 1개월에서 길게는 3개월 이상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부모님들은 지켜보며 꾸준한 칭찬을 통해 학생을 독려해주시기를 권유하고 있습니다.
 
Q. 에세이를 썼는데 문법이 틀린 부분이 자꾸만 보입니다. 그래도 칭찬해야 할까요?
A. 물론입니다. 아이가 글쓰기에 위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적보다는 칭찬을 하라고 말씀드립니다. 특히 자녀가 1~4학년이라면 최대한 많은 에세이를 써야 하는 시기인 만큼 조금은 부족한 부분이 보여도 글의 짜임새와 구성, 그리고 컨텐츠 적인 부분에 집중하도록 칭찬, 격려하여 유창성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Q. Rewrite는 꼭 해야 하는 건가요? 아이가 같은 에세이를 다시 쓴다며 힘들어해요.
A. Rewrite는 에세이 실력을 향상시키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자신의 에세이를 점검하고 수정해보는 연습을 통해 자신이 쓴 에세이의 내용, 표현, 형식 등 개선사항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Essay를 다시 써봄으로써 스스로 자신의 글을 읽어보고 점검해보는 좋은 기회로 작용합니다.
번호 | 제목 | 이름 | 날짜 | 조회 |
---|---|---|---|---|
168 | 2024년, 한 해를 돌아보는 자기학습 평가 | 2024.12.19 | 1647 | |
167 | 이기는 디베이트, 베스트 디베이터가 되려면? | 2024.12.04 | 1868 | |
166 | 상위권의 논술로 대학가는 세 가지 학습법 | 2024.11.06 | 2426 | |
165 | 청심국제중 기출문제로 알아보는 국제중 진학과 생활 A to Z | 2024.10.04 | 1923 | |
164 | 초1부터 영어∙수능 이원화와 논서술 평가 현실로? | 2024.09.26 | 1952 | |
163 | 초등부터 준비하는 서울대 면접 합격 노하우 | 2024.09.19 | 1850 | |
162 | 9월 모평으로 예측하는 수능 영어 학습 포인트! | 2020.09.04 | 2186 | |
161 | 영어공부 잘하는 비결! – Listening & Speaking편 | 2024.08.28 | 2826 | |
현재글 | 영어공부 잘하는 비결! - Writing 편 | 2024.08.22 | 2099 | |
159 | 영어공부 잘하는 비결! - Reading 편 | 2024.08.13 | 2255 |